반응형

📰칼럼/IT

    WebtoonMe(내 사진이 웹툰화된다면?)

    WebtoonMe는 네이버 웹툰 AI에서 프로모션한 사진/영상을 웹툰화 하는 프로젝트로 이를 간단히 소개하려 합니다. 내가 웹툰 속 주인공이 된다면? 웹툰미는 내 얼굴이 웹툰 캐릭터로 어떻게 변환될 수 있을까? 라는 궁금증에서 시작된 딥러닝 기반 '얼굴변환' 기술 프로젝트라고 합니다 문제 발생 그러나 많이 알려진 얼굴 변환 기술과는 달리 문제가 발생 -> 사진에 존재하는 다양한 사물(얼굴, 신체 부위, 배경 등)이 각각 필요로 하는 '스타일' 특성이 모두 달랐기 때문에 이를 유기적으로 고려하지 못한 변환이 어색한 결과를 보인 것입니다. 일반적으로 딥러닝 연구에 쓰이는 데이터셋과 달리 웹툰 데이터셋에는 사물마다 고유의 스타일이라는 속성이 있다는 결론 도출하였다고 합니다. 즉, 우리는 웹툰을 보면서 저게 어..

    AI반도체

    AI 서비스가 생활과 산업 전반에 확대됨에 따라 처리해야 하는 데이터양이 늘어나고 AI 데이터센터의 성능향상이 시급해졌다. 현재 대다수 기업은 기존 반도체(GPU)를 활용해 AI데이터 센터를 운영한다 그러나 GPU로는 속도의 한계와 비용의 문제가 발생한다. 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AI반도체가 떠오르고있다, 이는 기존의 GPU보다 대규모 연산을 초고속&저전력으로 실행할 수 있다. 국내에서는 SK텔레콤이 지난 해 첫 국산 AI반도체인 '사피온 X220'을 공개한바 있다. 이는 기존의 GPU와 비교해 전력 사용량은 80%, 연산 속도는 1.5배를 자랑했으며 또한 가격은 기존의 절반수준을 자랑했다. KT 또한 최근 클라우드 기반의 GPU 인프라 제공 서비스 '하이퍼스케일 AI컴퓨팅'을 출시했다. 이를 계기로 ..

    네이버 5G 특화망 구축 & 기간통신사업자 승인

    네이버, 5G 특화망 1호 기업 & 기간통신사업자 승인 네이버클라우드가 5G 이동통신 특화망 주파수 할당과 기간통신사업이 28일에 등록됐다고 밝혔다 이는 경기 성남시에 들어서는 네이버 제 2사옥 내에 5G 특화망을 구축할 예정이다 아래는 기사 중 발췌내용이다. 네이버랩스가 개발한 자율주행 ‘브레인리스 로봇’을 운용하기 위해서다. 이 로봇은 상황 판단에 쓰인 내장 컴퓨팅 처리 장치가 없다. 대신 5G 초저지연 네트워크를 통해 클라우드를 로봇 두뇌로 쓴다. 제작 비용과 배터리 소모량이 적은 게 특징이다. 네이버는 브레인리스 로봇을 사옥 내 택배·음료 배달 등에 쓸 예정이다. 통신사업자가 아닌 기업이 직접 5G망을 구축한다는 점에서 아주 놀랍다.... 뉴스링크 : https://n.news.naver.com/..

    마이데이터 사업

    마이데이터💰 마이데이터 사업이란 ? '본인신용정보관리업'으로 개인이 본인의 데이터를 관리하고 주체적으로 이용할 수 있께 한 제도이다. 즉, 이제부터는 개인이 자신의 어떤 데이터를 제공할지 선택이 가능하다. 이전까지는 기업이 고객의 ID/PW를 통해 금융기관에 대신 접속해 데이터를 얻었지만 마이데이터 사업이 시작되면서 허가를 받은 기업만 API형태로 가져오는 방식으로 개인 정보가 기업에 제공된다. 12/1일부터 은행, 금융사, 카드사, 핀테크 회사 등이 마이데이터 사업을 시작했으며 주로 맞춤형 금융 서비스에 집중하여있다. 민간인증서 마이데이터 사업에는 인증서가 필수 ! 마이데이터 서비스는 공동인증서를 제외한 1개이상의 민간인증서를 연동해야한다. 따라서 민간인증서 시장도 커질 전망인데, 현재 네이버가 가장 ..